
비즈니스 호텔은 호텔 본연의 기본 기능에 충실한 숙박 시설이다. 쉽고 편안한 접근성과 동선 체계, 적절한 편의시설 배치와 객실 구성, 그리고 호텔 브랜드가 담고 있는 서비스 수준이 갖춰졌을 때 비로소 확실한 경쟁력을 가졌다고 볼 수 있다. 판교는 서울 도심 가까이 위치하나 상대적으로 숙박시설 공급이 부족해 비즈니스 호텔이 자리매김할 수 있는 커다란 잠재력과 성장성을 가지고 있다. 현상 설계에 참여했던 2011년 봄부터 준공되는 2014년 사이 판교는 업무지구로서 대단히 빠른 성장을 이루고 있었다. 가로를 따라 형성된 상업 시설과 수직으로 꼿꼿이 세워 올라간 업무 시설이 채워지는 블록들의 끝단, 하천과 녹지축의 절점에 자리잡은 코트야드 메리어트 서울 판교(이하 판교 호텔)는 동일한 법적 제약 하에서도 다른 건축적 태도와 환경을 끌어들일 가능성을 갖게 되었다. 판교 호텔은 복합시설이지만, 주요 기능과 가치는 호텔 자체의 경쟁력에 바탕한 기능적인 완성도에 중점을 두고 계획되었다
계획의 기본 아이디어는 저층부와 상층부를 통합한 이미지를 구축해 하나의 볼륨을 형성하고 그 형상에 주변과 대비되는 요소를 결합시켜 도시에 새로운 표정을 연출하고 자연스러운 상징성과 차별성을 확보하는 데에 있었다. 복합 시설은 통상 용도별 요구사항과 기능적 제약이 볼륨의 분절로 이어지며 하나로 통합된 이미지를 구축하기 어려운데, 판교 호텔은 저층 기단부의 볼륨과 상부 형상 간의 경계를 최소화한 하나의 연속된 형상으로 제안했다. 이로써 지층에서부터 점진적으로 성장해 나가는 이미지를 형성한다. 입면에서 수직 패턴은 저층부로 펼쳐지며 저층 기단부와 하나의 볼륨으로 엮이고, 수직선들은 다시 상부로 오르면서 마치 나뭇가지처럼 자연스럽게 안팎으로 휘어지는 곡면 패턴으로 뻗는다. 열주처럼 규칙적인 입면의 수직선 및 곡선 변형, 그리고 중력 방향을 거스르며 펼쳐진 상부의 입면은 대지 앞 하천의 흐름에 대응하면서 주변의 인공적인 풍경과 분명하게 대비되는 상징성과 인지성을 가지고 자리매김한다.














-
상태
준공
-
발주
미래에셋맴스자산운용㈜
-
용도
호스피탈리티, 복합
-
설계연도
2011
-
준공연도
2014
-
위치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
대지면적
3,310.00m2
-
연면적
39,878.02m2
-
건축면적
2,308.89m2
-
규모
지하 6층, 지상 16층
-
설계
-
참여
김헌술, 이인원, 이호, 황재연
비즈니스 호텔은 호텔 본연의 기본 기능에 충실한 숙박 시설이다. 쉽고 편안한 접근성과 동선 체계, 적절한 편의시설 배치와 객실 구성, 그리고 호텔 브랜드가 담고 있는 서비스 수준이 갖춰졌을 때 비로소 확실한 경쟁력을 가졌다고 볼 수 있다. 판교는 서울 도심 가까이 위치하나 상대적으로 숙박시설 공급이 부족해 비즈니스 호텔이 자리매김할 수 있는 커다란 잠재력과 성장성을 가지고 있다. 현상 설계에 참여했던 2011년 봄부터 준공되는 2014년 사이 판교는 업무지구로서 대단히 빠른 성장을 이루고 있었다. 가로를 따라 형성된 상업 시설과 수직으로 꼿꼿이 세워 올라간 업무 시설이 채워지는 블록들의 끝단, 하천과 녹지축의 절점에 자리잡은 코트야드 메리어트 서울 판교(이하 판교 호텔)는 동일한 법적 제약 하에서도 다른 건축적 태도와 환경을 끌어들일 가능성을 갖게 되었다. 판교 호텔은 복합시설이지만, 주요 기능과 가치는 호텔 자체의 경쟁력에 바탕한 기능적인 완성도에 중점을 두고 계획되었다
계획의 기본 아이디어는 저층부와 상층부를 통합한 이미지를 구축해 하나의 볼륨을 형성하고 그 형상에 주변과 대비되는 요소를 결합시켜 도시에 새로운 표정을 연출하고 자연스러운 상징성과 차별성을 확보하는 데에 있었다. 복합 시설은 통상 용도별 요구사항과 기능적 제약이 볼륨의 분절로 이어지며 하나로 통합된 이미지를 구축하기 어려운데, 판교 호텔은 저층 기단부의 볼륨과 상부 형상 간의 경계를 최소화한 하나의 연속된 형상으로 제안했다. 이로써 지층에서부터 점진적으로 성장해 나가는 이미지를 형성한다. 입면에서 수직 패턴은 저층부로 펼쳐지며 저층 기단부와 하나의 볼륨으로 엮이고, 수직선들은 다시 상부로 오르면서 마치 나뭇가지처럼 자연스럽게 안팎으로 휘어지는 곡면 패턴으로 뻗는다. 열주처럼 규칙적인 입면의 수직선 및 곡선 변형, 그리고 중력 방향을 거스르며 펼쳐진 상부의 입면은 대지 앞 하천의 흐름에 대응하면서 주변의 인공적인 풍경과 분명하게 대비되는 상징성과 인지성을 가지고 자리매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