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조업 중심의 노후 산단이었던 시화국가산업단지는 최근 스마트산업단지 및 4차산업전진기지로 선정되었다. 노후 산업단지 내 입주 기업들의 생산활동을 지원하고 업종 고도화 및 디지털 전환 등을 지원하기 위해 각종 산업 인프라가 공급될 계획이며, 스마트 산단의 디지털 인프라 구축을 위해 데이터센터와 스마트 공장 등의 구축을 지원한다. 캄스퀘어 안산 데이터센터는 이 시화국가산업단지에 설립되는 ‘랜드마크 데이터센터’로써, 제조업 중심으로 구축된 안산산업단지의 기존 이미지를 첨단 IT 특화단지로 새롭게 구축하는 데에 일조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다.
건물에서 특징적인 부분은 저층부와 입면에서 공공성과 친환경을 강조하며, 동시에 수평·수직적으로 공간을 해석해 구분하고 있는 점이다. 저층부 지원 시설은 그 투명성으로 개방감과 공공성을 부각시키고, 입면에서 BIPV(태양광발전패널)를 활용한 수직적 요소는 상징적 파사드 패턴을 연출하면서 건물 내 전체적인 일조를 가능하게 한다. BIPV 이외에도 경기도 녹색건축물 설계기준을 준용한 패시브·액티브 디자인을 건물 전체적으로 적용했다. 동시에 데이터 보안 시설로서 수직적으로 분리된 보안 체계를 구축하고 동선을 정리했으며, 범죄예방 설계를 적용해 데이터센터 근무자 및 산단 이용자들의 투명하고 안전한 가로환경 사용을 꾀한다.



-
상태
진행
-
발주
한국대체투자자산운용(KAAM)
-
용도
데이터센터
-
설계연도
2023
-
준공연도
2027(예정)
-
위치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
대지면적
13,340.60m2
-
연면적
76,459.01m2
-
건축면적
8,102.93m2
-
규모
지하 5층, 지상 7층
-
설계
-
참여
김도형, 김민조, 마동민, 이지선, 정제영, 최영주, 최지연
제조업 중심의 노후 산단이었던 시화국가산업단지는 최근 스마트산업단지 및 4차산업전진기지로 선정되었다. 노후 산업단지 내 입주 기업들의 생산활동을 지원하고 업종 고도화 및 디지털 전환 등을 지원하기 위해 각종 산업 인프라가 공급될 계획이며, 스마트 산단의 디지털 인프라 구축을 위해 데이터센터와 스마트 공장 등의 구축을 지원한다. 캄스퀘어 안산 데이터센터는 이 시화국가산업단지에 설립되는 ‘랜드마크 데이터센터’로써, 제조업 중심으로 구축된 안산산업단지의 기존 이미지를 첨단 IT 특화단지로 새롭게 구축하는 데에 일조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다.
건물에서 특징적인 부분은 저층부와 입면에서 공공성과 친환경을 강조하며, 동시에 수평·수직적으로 공간을 해석해 구분하고 있는 점이다. 저층부 지원 시설은 그 투명성으로 개방감과 공공성을 부각시키고, 입면에서 BIPV(태양광발전패널)를 활용한 수직적 요소는 상징적 파사드 패턴을 연출하면서 건물 내 전체적인 일조를 가능하게 한다. BIPV 이외에도 경기도 녹색건축물 설계기준을 준용한 패시브·액티브 디자인을 건물 전체적으로 적용했다. 동시에 데이터 보안 시설로서 수직적으로 분리된 보안 체계를 구축하고 동선을 정리했으며, 범죄예방 설계를 적용해 데이터센터 근무자 및 산단 이용자들의 투명하고 안전한 가로환경 사용을 꾀한다.


